전체 글78 백준 문제 분석기 개발일지 #3 현재 백준 문제 분석기는 개발이 1차 목표 완료하였다.Chrome Extension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성능은 골드 문제 정도를 분석하고 있다. (추후 향상 및 개선)📝 개요알고리즘 문제를 처음 접하는 학우들이 단순하게 누군가의 코드만 보고 공부하는 것을 목격하였다. 옛날 수학을 공부할 때 그 원리를 알아가며 공부하였듯이 알고리즘도 답안지의 해설이 필요함을 느끼고 개발에 시작했다. Backend[SpringBoot, FastAPI, MongoDB]SpringBoot로 문제 및 데이터 API를, FastAPI로 AI API를 분리 구축하여 구조적 유연성과 유지보수성을 확보빠른 개발과 JSON형식의 문서 저장을 위해 mongoDB를 활용하여 데이터 저장, 캐싱 구조를 설계하여 LLM 호출을 1회로 제.. 2025. 3. 14. 백준 문제 분석기 개발일지 #2 개발 진행 상황 정리2025-02-24초기 구상웹사이트 형식의 백준 문제 분석기 프로토타입 완성편의성에 대한 고민 발생 → 크롬 확장 프로그램 형식으로 전환개발 방향 변경기존 백엔드와 AI 연동(백과 AI) 구조는 그대로 유지크롬 확장 형태로 구현하고, TypeScript로 작성서버 구성백서버, DB, AI 서버 총 3개를 docker-compose로 묶어서 진행문제 상황크롬 확장에 로드는 성공했으나, 에러로 인해 정상 작동이 되지 않음에러 분석 및 해결 방안을 모색 중 2025. 2. 24. 백준 문제 분석기 프로젝트 개요Baekjoon 문제를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개발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본 프로젝트는 MLOps 학습과 실습을 주요 목적으로 하며, GPT 기반의 LLM 분석 기능과 LangChain 등의 기술을 활용할 계획입니다.프로젝트 목표사용자가 Baekjoon 문제 번호를 검색하면 문제 정보와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플랫폼 구축MLOps 학습과 실습을 위한 환경 구성비용을 최소화하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버 배포영역별 설명AI 영역핵심 구성 요소:GPT 기반 LLM: 문제 분석 및 솔루션 제안LangChain: GPT와 prompt.py를 활용하여 입력 처리를 자동화하고 워크플로 관리작업 흐름:사용자가 입력한 Baekjoon 문제 번호를 백엔드로 전송백엔드에서 문제 정보와.. 2025. 1. 14. [개쉬운 풀이] 백준 3197 백조의 호수 CPP (21일차) https://www.acmicpc.net/problem/3197 문제 생각1. 먼저 호수의 영역을 숫자로 표현하여 구분한다.2. 물에 닿은 영역을 set을 활용하여 저장한다. (중복 방지)3. for문을 활용하여 set의 영역을 물로 만들고 다음 날 바뀔 영역들을 저장한다.4. 이때 백조들도 물 취급을 해준다.5. 백조들의 현재 영역을 비교하면서 반복한다. 어려웠던 점1. 영역을 처음에는 dfs를 통해 계속 숫자를 바꿔주려고 했지만, 시간초과에 직면하였다.2. 따라서 union find와 비슷하게 루트 영역을 만들어서 호수의 영역끼리 만나면 merge하였다.3. 백조도 물 취급을 해서 백조 위치의 영역도 생각해주어야 한다.4. melting()이 진행되기 전에, 다음 날 녹을 얼음들을 저장하면서 are.. 2024. 12. 13. 이전 1 2 3 4 5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