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18668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18668)
문제
당신은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기 위해 공부하려고 합니다. 코딩 테스트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알고리즘에 대한 지식과 코드를 구현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알고리즘에 대한 지식은 알고력, 코드를 구현하는 능력은 코딩력이라고 표현합니다. 알고력과 코딩력은 0 이상의 정수로 표현됩니다.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문제가 요구하는 일정 이상의 알고력과 코딩력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당신의 현재 알고력이 15, 코딩력이 10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A라는 문제가 알고력 10, 코딩력 10을 요구한다면 A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B라는 문제가 알고력 10, 코딩력 20을 요구한다면 코딩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B 문제를 풀 수 없습니다.
풀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알고력과 코딩력을 높여야 합니다. 알고력과 코딩력을 높이기 위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알고력을 높이기 위해 알고리즘 공부를 합니다. 알고력 1을 높이기 위해서 1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코딩력을 높이기 위해 코딩 공부를 합니다. 코딩력 1을 높이기 위해서 1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현재 풀 수 있는 문제 중 하나를 풀어 알고력과 코딩력을 높입니다. 각 문제마다 문제를 풀면 올라가는 알고력과 코딩력이 정해져 있습니다.
문제를 하나 푸는 데는 문제가 요구하는 시간이 필요하며 같은 문제를 여러 번 푸는 것이 가능합니다.
당신은 주어진 모든 문제들을 풀 수 있는 알고력과 코딩력을 얻는 최단시간을 구하려 합니다.
초기의 알고력과 코딩력을 담은 정수 alp와 cop, 문제의 정보를 담은 2차원 정수 배열 problems가 매개변수로 주어졌을 때, 모든 문제들을 풀 수 있는 알고력과 코딩력을 얻는 최단시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모든 문제들을 1번 이상씩 풀 필요는 없습니다. 입출력 예 설명을 참고해주세요.
제한사항
초기의 알고력을 나타내는 alp와 초기의 코딩력을 나타내는 cop가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0 ≤ alp,cop ≤ 150
1 ≤ problems의 길이 ≤ 100
problems의 원소는 [alp_req, cop_req, alp_rwd, cop_rwd, cost]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lp_req는 문제를 푸는데 필요한 알고력입니다.
0 ≤ alp_req ≤ 150
cop_req는 문제를 푸는데 필요한 코딩력입니다.
0 ≤ cop_req ≤ 150
alp_rwd는 문제를 풀었을 때 증가하는 알고력입니다.
0 ≤ alp_rwd ≤ 30
cop_rwd는 문제를 풀었을 때 증가하는 코딩력입니다.
0 ≤ cop_rwd ≤ 30
cost는 문제를 푸는데 드는 시간입니다.
1 ≤ cost ≤ 100
정확성 테스트 케이스 제한사항
0 ≤ alp,cop ≤ 20
1 ≤ problems의 길이 ≤ 6
0 ≤ alp_req,cop_req ≤ 20
0 ≤ alp_rwd,cop_rwd ≤ 5
1 ≤ cost ≤ 10
효율성 테스트 케이스 제한사항
주어진 조건 외 추가 제한사항 없습니다.
생각
- 처음에는 문제를 잘 못 읽어서 모든 문제를 풀어야만하는 줄 알았다.
- 그러나 문제의 조건은 모든 문제를 푸는 것이 아닌, 모든 문제를 풀 수 있는 코딩력과 알고력을 갖추는 것이다.
- 그래서 그리디로 생각했지만, 두개의 변수에 대한 최소값을 구해야하므로, DP를 이용하여 해결하였다.
풀이
1. 먼저 도달해야하는 코딩력과 알고력 각각 구한다.
2. dp를 재귀로 구현하여 구한다.
3. 현재 코딩력과 알고력에 각각 증가할 수 있는 방법을 매 재귀마다 반영한다.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iostream>
#include <memory.h>
using namespace std;
const int alp_req = 0;
const int cop_req = 1;
const int alp_rwd = 2;
const int cop_rwd = 3;
const int cost = 4;
const int MAX = 151;
const int INF = 1e9;
vector<vector<int>> p;
int max_alp = 0, max_cop = 0;
int dp[MAX][MAX];
int process(int alp, int cop){
//초과되면 0
if(alp >= max_alp && cop >= max_cop) return 0;
//둘 중 하나가 범위를 넘어가면 넘어가지 않도록 해줌
alp = min(alp, max_alp);
cop = min(cop, max_cop);
//&를 사용하여 dp에 직접적인 접근으로 재귀함수하면서 자동으로 dp에 채워짐
int &res = dp[alp][cop];
if(res != -1) return res;
res = INF;
/*
코딩력과 알고력이 증가하는 경우
1. 각각 1씩 학습하는 경우
2. 문제를 통해 증가하는 경우
*/
//1번 코딩력과 알고력 각각 학습으로 증가하는 경우
if(alp < max_alp) res = min(res, process(alp+1, cop) + 1);
if(cop < max_cop) res = min(res, process(alp, cop+1) + 1);
//문제를 통해 증가하는 경우
for(int i = 0; i < p.size(); i++){
if(p[i][alp_req] <= alp && p[i][cop_req] <= cop){
res = min(res, process(alp+p[i][alp_rwd], cop+p[i][cop_rwd]) + p[i][cost]);
}
}
dp[alp][cop] = res;
return res;
}
int solution(int alp, int cop, vector<vector<int>> problems) {
max_alp = alp;
max_cop = cop;
p = problems;
//목표치 찾기
for(int i = 0; i < problems.size(); i++){
max_alp = max(max_alp, problems[i][alp_req]);
max_cop = max(max_cop, problems[i][cop_req]);
}
//dp 초기화
memset(dp, -1, sizeof(dp));
dp[max_alp][max_cop] = 0;
int answer = process(alp, cop);
return answer;
}
'알고리즘 문제 > D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쉬운 풀이] 백준 3687 성냥개비 CPP (13일차) (0) | 2024.12.04 |
---|---|
[개쉬운 풀이] 백준 15989 1, 2, 3 더하기 4 (8일차) (0) | 2024.11.29 |
[개쉬운 풀이] 백준 10942 팰린드롬? (2) | 2024.03.09 |
[개쉬운 풀이] 백준 2293 동전1 (0) | 2024.03.07 |
[개쉬운 풀이] 백준 1915 가장 큰 정사각형 (CPP/C++) (0) | 2024.03.04 |